오늘은 임플란트 비용 및 가격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임플란트를 시도하고 있고 대중화 되어가고 있지만 치과에서는 난이도가 높은 수술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대가 있기 마련인데요. 혼란스러운 것은 치과마다 개인마다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입니다. 왜 그런것일까요? 오늘 이에 대한 원리와 함께 해결책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장담컨대 이 글만 보셔도 임플란트 가격 혼란스러울 일 없으실겁니다.
임플란트 비용 차이 왜?
임플란트 가격차이는 왜 발생하는 걸까요? 우선은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수술이기 때문에 같은 5% 차이라고 하여도 체감되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몇 만원에서의 5%랑 몇 백만원대에서의 5%는 차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임플란트는 종류가 워낙에 다양하고 개인에 따라 수술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후 보시면 아시겠지만 임플란트를 구성하고 있는 총 3가지 요소별로 종류가 있으며, 어금니이냐 앞니이냐에 따라서도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결론은 개인에 따른 수술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시술자의 손도 많이 타게되고 잘하는 병원일수록 가격차이는 더욱 벌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잘 되면 20~30년까지도 사용가능하기에 잘 알아보고 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임플란트의 구성요소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임플란트 비용 및 가격 (2025년)
종류 | 최저가 | 평균가 | 최고가 |
메탈 | 89 만원 | 112 만원 | 123 만원 |
골드 | 140 만원 | 149 만원 | 157 만원 |
PFM | 108 만원 | 114 만원 | 124 만원 |
PFG | 120 만원 | 159 만원 | 192 만원 |
올세라믹 | 123 만원 | 129 만원 | 142 만원 |
지르코니아 | 111 만원 | 116 만원 | 129 만원 |
위는 202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전국 임플란트 평균 가격을 정리한 것입니다. 2024년도와 비교를 해보면 메탈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평균가격이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특이한 점은 최고가를 기록한 지역 중에서 특히나 제주도가 많았다는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이 많았구요. 최저가의 경우 경남 혹은 전남, 세종과 같이 인구가 적은 곳들이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해보기로는 제주도는 물품을 공급받을 때 비용이 더 들어서 그런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참고만 해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위를 보면 대부분 개당 평균 100만원은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치과를 기준으로 하였는데요. 임플란트만을 전문으로 하는 대형병원이면 더욱 비쌀 수 있겠죠.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도 강남이냐 지방 소도시냐에 따라서도 가격이 나뉘어지게 됩니다. 혹시나 실시간으로 가격을 확인하고 싶거나, 원하는 지역만의 가격을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하기를 참고해주세요.
임플란트 구성 요소
임플란트는 총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픽스쳐-어버트먼트-상부구조물”입니다. 이 각각의 구성요소마다 종류가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이거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흔히들 말하는 임플란트의 종류는 픽스쳐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크라운은 상부구조물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4가지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의 경우 드문 경우에 속하기 때문에 위 3가지로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그렇다면 구성 요소별로 종류와 가격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비용
- 기성 어버트먼트
- 맞춤 어버트먼트
- 힐링 어버트먼트
어버트먼트는 식립된 픽스쳐와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요소입니다. 총 3가지가 존재하며, 쉽게 말하면 정장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기성복과 맞춤복으로 보시면 되고, 힐링의 경우 회복을 위해 임시로 설치하는 요소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맞춤 어버트먼트가 가장 비싸며, 개인의 잇몸 상태에 따라 필요한 상황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기성을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맞춤 어버트먼트가 기성보다는 10~20만원 정도 비싸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상세 내용은 하기를 참고해주세요.
임플란트 보철물 비용
- 메탈
- 금
- PFM
- PFG
- 올세라믹
- 지르코니아
총 6가지 크라운 종류가 있습니다. 상부구조물이라고도 하며, 인공 치아라고도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위 6가지가 대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금 성분이 함유된 금과 PFG 가 가장 비싸며, 그 다음으로는 올세라믹이 비싼편에 속합니다.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건 PFM과 지르코니아 인데요. 지르코니아는 인공 다이아몬드라고도 불릴 정도로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자랑하며 자연치아와 색깔도 유사해 심미적인 부분에서도 많이 고려됩니다. 각 보철물별 상세 특징과 가격은 하기를 참고해주세요.
임플란트 종류별 비용
- 외산 브랜드
- 아스트라 임플란트
- 스트라우만 임플란트
- 브레네막 임플란트
- 국산 브랜드
- 오스템 임플란트
- 덴티움 임플란트
- 덴티스 임플란트
- 네오 임플란트
- 디오 임플란트
- 원플란트 임플란트
-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위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종류를 정리한 것입니다. 잇몸뼈에 식립하게 되는 것들을 픽스쳐라고 하는데요. 정말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3대 명품 임플란트를 외산 브랜드라고 하며, 국내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것은 오스템 임플란트 입니다.
가격은 당연히 국산보다는 외산이 비싼편에 속하는데요. 각각의 종류마다 장단점이 있고, 특징이 있기 때문에 궁금하신 임플란트별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임플란트 위치별 비용
마지막으로 임플란트 위치별로도 가격이 상이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윗니이냐 아랫니이냐 혹은 앞니이냐 어금니이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데요. 정리를 해보면, 윗니보다는 아랫니, 앞니 보다는 어금니가 가격이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 윗니 > 아랫니
- 앞니 > 어금니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우선 앞니의 경우는 어금니보다도 심미적인 면을 함께 고려해야하기에 그렇습니다. 앞니인데 스테인리스 색깔의 보철물을 두를 수는 없기 때문이지요.
또한 윗니보다도 아랫니가 골질이 더 튼튼하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빠른 치료와 부가적인 수술 없이 진행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윗니의 경우 아랫니보다 무른편에 속하고 상악동이라는 공기주머니가 있어, 상악동 거상술 혹은 잇몸뼈이식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수 있기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특히 상악동 거상술은 치과 치료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수술에 속하기에 가격이 더욱 비싼편인데요. 더욱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2025년 임플란트 건강보험
추가로 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24년도에 비해 많은 것이 바뀌었는데요. 첫 번째로 무치악환자도 건강보험 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30%의 본인부담금에서 25%까지 하향조정되어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시는 분들은 본인 부담이 줄어들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pfm만 가능하였던 보철물 종류에서 이제부터는 지르코니아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추가로 인당 2개에서 4개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중이라고 하는데요. 임플란트를 계획 중이신 분들은 반드시 해당 혜택을 놓치지 말고 챙기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상으로 오늘 임플란트 비용 및 가격 등에 대해서 모두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정말 더도말고 덜도말고 이 글만 보셔도 왜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지,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 감을 익히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잘 참고하셔서 성공적인 수술 되시기를 바라며 이 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도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