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임플란트 수명에 대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옆집 말숙이는 10년 넘게 사용중인데, 정작 나는 왜 2~3년 밖에 안되었는데 흔들리거리거나 재수술 고민까지 해야하는 걸까요? 임플란트 수명 10년이 넘는다던대 그 차이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임플란트의 진짜 수명과 결정 요소에 대해 알아볼테니 하기를 통해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임플란트 진짜 수명은?
치과에서 상담을 받으실 때, 보통 치과의사 분들은 이러십니다. “임플란트 수명은 보통 10년은 갑니다” 라구요. 정말일까요? 근데 사람마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은 통상적으로 10년 맞습니다. 충분히 가능한 수치이며, 실제 여러 연구에서도 밝혀진 바 있는데요. 10년까지의 생존율은 약 90% 이상이 되며, 20년까지의 생존율은 80~85%가량 된다고 합니다. (출처)
물론 모수가 적기는 하지만, 이외 스웨덴의 예테보리 대학교에서 1982 ~ 1985년 동안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던 사람들을 40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23개의 임플란트 시술을 하였으며, 총 18개가 생존했다고 합니다. 즉, 38~40년의 기간동안 95%라는 생존율이 확인된 것인데요. (출처)
그렇다면 수명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하기에서 구체적인 관리 방법과 함께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플란트 수명 요소
임플란트 수명을 결정짓는 요소에는 정말 여러가지가 있지만, 환자 개인의 건강상태가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재수술의 첫 번째 원인이 되는 주위염과는 관련이 없을 수 있지만, 당뇨병이라던지, 골다공증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일각에서는 33개의 연구에서 당뇨병과 임플란트 사이에는 영향이 없다고 보고하지만, 17개의 연구에서는 영향이 있다고 보고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해보입니다. (출처)
두 번째로는 구강위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구강관리가 미흡하여 균이 생기고, 염증이 생기면 임플란트 재수술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임플란트 주위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흡연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제 흡연을 하는 사람들인 비흡연자에 비해 임플란트 실패 위험이 약 2.4배 증가하며, 골소실은 평균 0.58mm 많았고, 염증을 발생시키는 확률을 증가시킨다고 하는데요. (출처)
그렇기 때문에 위 3가지 요인은 특히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외에는 안좋은 구강습관이라던지, 수술이 잘못되었다던지, 보철물이 안 맞는다던지 등등의 이유가 있겠습니다.
임플란트 관리 방법
그렇다면 임플란트는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우선적으로 흡연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금연을 하시는게 베스트이나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분들은 더욱 확실한 구강관리가 필요하며, 가글을 수시로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이갈이라던지 이를 꽉 무는 습관이 있는 분들은 나쁜 습관을 고치는 것이 필요하며 혼자서 어렵다면 장치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특히 임플란트는 시술 후 1년까지의 관리가 정말 중요한대요. 하기 시기별로 무엇을 먹어야하는지 혹은 나쁜 습관과 하지말아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상세히 정리되어있으니 한번 체크해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임플란트 재수술 가격
그럼 만약 재수술을 해야한다면 비용은 어느정도 들까요? 통상적으로 50~80만원 정도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치과에서 보증하는 기간에 해당한다면 전액 부담이 아니라 치과와 함께 부담을 하기 때문인데요. 그게 아니라면 100~120만원 정도가 부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수술을 하게되면 뼈이식 수술을 많이 진행하게 됩니다. 재재수술을 예방하기 위해서인데요. 하기에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어느 경우이고, 전체적인 비용과 과정, 기간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기를 한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마무리하며
이상으로 오늘 임플란트 수명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오늘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잘 참고해보시고 현명한 시술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